대한민국의 미래를 준비하는 여시재와 함께 해주십시오. 회원가입으로 여시재의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이대식
2020.02.05[여시재 인사이트 / 에너지 대변동] 동아시아서 벌어지는 미·러·중의 에너지 패권 싸움 가스 허브 구축을 국가 어젠다로 -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등터지는 새우 될 것 이대식(도시솔루션실 실장) ...
여시재 에너지 연구팀
2019.12.13[여시재 인사이트 / 에너지변동 5·끝] 미중일러 모두에 한국이 次善 - 동북아 협력적 에너지 네트워크 구축으로 가야 여시재 에너지연구팀 한국가스공사 평택기지본부 모습(사진 출처 :...
여시재 에너지 연구팀
2019.12.05[여시재 인사이트/에너지변동 4] 美의 페트로-달러에 도전하는 中의 가스-위안화 - 일·싱가포르도 가스 허브 구축 추진 여시재 에너지 연구팀 미국 루이지애나 주에 위치한 헨리 허브(Henry...
여시재 에너지 연구팀
2019.11.22[여시재 인사이트 / 에너지변동 3] 동북아 국가들, 미·EU 비해 5~6배 되는 터무니 없는 가격에 가스 수입 - 역내 가스 허브 없어 많은 불이익 감수 여시재 에너지 연구팀 (사진 출처:...
여시재 에너지 연구팀
2019.11.14[여시재 인사이트 / 에너지변동 2] 美·日·濠 에너지 동맹 구축되고 있다 - 중 겨냥 대륙 對 해양 구도 가속화 여시재 에너지 연구팀 지난 6월 오사카에서 열린 G20정상회의에서 만난 도널드...
여시재 에너지 연구팀
2019.11.07[여시재인사이트/에너지변동 1] 脫석유, 가스의 시대가 온다 - 한·중·일·동남아로 시장 중심 이동, 위험 동반한 기회의 문 열리고 있다 여시재 에너지 연구팀 LNG 수송선(사진 출처: SK...
이종인(여시재 부원장)
2019.08.16原電은 근육과 뼈라는 중국, 원전庫 동아시아 가속화 가공할 事故에 어떤 대책도 없다 이종인(여시재 부원장) 2011년 발생한 동일본대지진 당시 폭발 사고를 일으킨 후쿠시마 원전 출처 일본 FNN ...
김연규(한양대 국제학부 교수)
2019.05.22(재)여시재와 한양대 김연규 교수(산자부 해외자원개발혁신TF 가스분과 위원장)는 21세기 들어 글로벌 에너지 수요-공급 질서가 근본부터 변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그 영향이 동북아, 특히 한반도에 미칠 영향을 연구해왔다. 그...
김연규(한양대 국제학부 교수)
2019.05.09미 태평양 함대 사진과 중국 항공모함 20세기는 미국의 석유-달러 패권이 창출되고 유지되고 공고해지던 시대였다. 미국은 IMF와 세계은행을 통해 달러 기축통화 체제를 구축한 데 이어 1975년 사우디와 페트로(석유)-달러...
김연규(한양대 국제학부 교수)
2019.05.031974년 6월, 사우디아라비아를 방문한 리처드 닉슨 대통령 시리아 전쟁, 러시아의 크림반도 점령, 중국의 일대일로와 미국의 아시아재균형 전략…. 최근 일어나고 있는 국제정치 대사건들의 저변을 관통하는...
김연규(한양대 국제학부 교수)
2018.11.302010년 이후 중국의 본격적인 부상으로 미국과의 세계 패권 주도권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 문제를 관찰하는 데 있어 무역분쟁 등 현재 벌어지는 상황도 중요하지만 지난 50~60년간 미국의 힘과 패권 유지의 주요 동력이...
티테녹 안나(Анна Титенок)
2018.11.20남-북-중-일-러와 몽골 6개국을 포괄하는 초국가적 동북아 에너지망 구축 논의를 본격화할 때가 됐다는 주장이 국제포럼에서 잇따라 제기됐다. 석탄과 철강이 EU 통합의 매개가 된 것처럼 동북아 지역에선 전력망과 가스라인이 그 역할을...
이대식
2018.08.309월 11일에서 13일까지 러시아 블라디보스톡에서 동방경제포럼이 열린다. 동방경제포럼은 아시아 태평양 주요국 간의 협력을 통해 낙후한 러시아 극동지역을 개발하기 위해 2015년 푸틴 대통령이 창설했다. 매년 블라디보스톡에서 개최되는...
황세희
2018.07.11여시재는 지속가능성, 디지털사회, 동서양 신문명, 스마트 시티 주제를 고민하는 글로벌 싱크탱크, 신간, 기사를 소개합니다. 주요 쟁점에 대한 국내 관심을 환기하고,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는 네트워크를 형성하려 합니다. 네 가지...
티테녹 안나(Анна Титенок)
2018.03.06여시재는 지속가능성, 디지털사회, 동서양 신문명, 스마트 시티 주제를 고민하는 글로벌 싱크탱크, 신간, 기사를 소개합니다. 주요 쟁점에 대한 국내 관심을 환기하고,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는 네트워크를 형성하려 합니다. 네 가지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