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미래를 준비하는 여시재와 함께 해주십시오. 회원가입으로 여시재의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황세희(여시재 미래디자인실장)
2020.03.27사회 안정을 위해 개인을 희생시키는 뿌리 깊은 시스템 일본 코로나 수수께끼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필자 황세희 실장은 연세대(학사·석사)를 마치고 일본 게이오대에서 2012년 법학 박사학위를 받은 일본...
가와시마 신(도쿄대 교수)
2020.02.23[여시재 인사이트/日의 對中인식 4·끝] 시진핑 정권의 국제질서관 - 국제정치는 국제연합 중시, 국제경제는 자유주의 옹호 가와시마 신(川島真) 도쿄대 교수 ...
와타나베 츠네오(사사가와평화재단 수석연구원)
2020.02.11韓·日 등 美 동맹국은 中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가? 對美 군사동맹은 확고하게, 對中 통상·외교는 유연하게 해야 와타나베 츠네오(渡部恒雄) 사사가와평화재단 수석연구원 ...
다나카 오사무(일본무역진흥기구 아시아경제연구소 상석주임연구원)
2020.01.17중국 경제의 구조적 불균형 문제 시급히 해결해야 공포 대상 국가에서 존경받는 국가로 전환해야 고령화 속도로 볼 때 남은 시간 많지 않아 다나카 오사무(田中 修) 일본무역진흥기구 아시아경제연구소...
김연규(한양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2020.01.14[여시재 인사이트 / 에너지 변동 / 이란 사태] 미국은 이란 공격을 통해 무엇을 노리나? - 20년 전 브레진스키, 중-러-이란 동맹이 미국에 가장 큰 위협 중-이란, 5개월 전 2800억 달러 투자 합의 ...
다카하라 아키오(도쿄대 교수)
2020.01.09中, 정치체제·고령화·부족한자원·無동맹·非기축통화 난제 수두룩 美, 많은 나라가 오만한 미국 싫어하는 게 가장 큰 문제 다카하라 아키오(高原明生) 도쿄대 교수 감수 일본...
황세희
2019.09.25[여시재 토론/에너지 전환기의 한국] - 디지털 전환, 그리고 국제정치 관점에서 본 에너지의 모든 것 초연결이 큰 특징인 디지털 전환은 에너지, 특히 전기 수요의 폭발적 증가를 동반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치훈(국제금융센터 리스크분석본부 신흥경제부장)
2019.09.25[여시재 인사이트 / 미중 환율전쟁과 한국 경제] 국내 콜거래 60%를 중국계 은행이 차지 - 미중 환율전쟁 속 한국의 대중 금융의존도 낮출 대책 필요 이치훈(국제금융센터 리스크분석본부 신흥경제부장) ...
성균중국연구소
2019.09.23[여시재 인사이트 / 동북아 변화와 홍콩 사태] 홍콩 시위의 본질은 중국化 자체가 싫다는 것 -NO 위챗, YES 텔레그램은 中의 디지털 감시에 대한 강력한 저항 성균중국연구소 홍콩에서는 지난...
이석수(국방대학교 안보대학원 교수)
2019.09.19[여시재 인사이트/미·중 경쟁과 중간국가의 생존전략 ②일본] 日의 궁극 목표는 정상국가가 아니라 독자적 군사대국 - 미국엔 완전 밀착, 중국은 철저 견제 이석수(국방대학교 안보대학원 교수) ...
홍지영(연세대학교 미래사회통합연구센터 연구교수)
2019.09.11[주간 인사이트] 그린란드가 中에 공항 건설 요청하자 美 매티스 국방장관이 직접 나서 저지 - 트럼프 그린란드 사고 싶다 발언 배경엔 中 자본의 북극 진출이 있다 홍지영(연세대학교 미래사회통합연구센터 연구교수) ...
차태서(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2019.09.06[주간 인사이트] 투키디데스 함정, 킨들버거 함정, 그리고 문명충돌론의 귀환 - 거대 담론의 흐름으로 본 미·중 갈등 차태서(성균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미 외교협회 회장의 부고장 덜 자유롭고, 덜...
안오성(정부출연연 과학기술인연합회 총연합회 정책연구소장)
2019.08.312600명 과학기술 연구자들의 열망이 국가 자산이 되기를 소망한다 - 25개 정부출연연 연구자들이 일본발 소재-부품-장비 대란에 부치는 목소리 대표집필/안오성(정부출연연 과학기술인연합회 총연합회 정책연구소장) ...
이윤서
2019.08.27[여시재 대담] 中·日의 눈으로 본 한국은? - 이희옥 중국은 한일 갈등 굉장한 호재로 본다 이원덕 일본은 文 정부가 지나치게 나이브하다고 해 해방 이후 한국의 선택은 미국이었다. 냉전의 최전선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