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미래를 준비하는 여시재와 함께 해주십시오. 회원가입으로 여시재의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강연: 이동학 쓰레기센터(생활정책연구원 부설) 대표
2020.10.22이동학 쓰레기센터(생활정책연구원 부설) 대표, 쓰레기 실태와 대응 방안 강연 여시재는 매월 셋째주 목요일 오전 월례회를 열어 시대를 관통하는 이슈를 선정해 강연을 듣고 의견을 나누는 시간을 갖고 있다. 10월 진행된...
문승일(서울대 전기공학부 교수)
2020.08.18이대로는 그린 뉴딜 성공 못해...특구 지정 등 제도 정비 서둘러야 기업활동에 필요한 전력 100% 재생에너지로 사용하는 RE100 달성은 국제 경쟁의 주요 키워드 서남해 지역에 위치한 해상 풍력발전단지 모습 ...
안병진(경희대학교 미래문명원 교수)
2019.12.17[여시재 인사이트/기후변화] 끊임없이 비상벨 울리는 미국과 중국 모델 진보·보수 모두 자신들만의 교과서 버릴 때 안병진(경희대 미래문명원 교수) 시사 주간 타임지의 2019 올해의 인물에...
안병진(경희대학교 미래문명원 교수)
2019.12.03[여시재 인사이트 / 기후변화] 미 국방부의 충격적 기후 재앙 보고서 - 우리는 지금 어디로 가고 있는가 안병진(경희대학교 미래문명원 교수) (위)11월 15일 국제형법학회 총회에서 환경파괴를 교리에...
신상범(연세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2019.09.17[여시재 인사이트 / 지속가능발전] 암스테르담과 기타큐슈, 정반대 경로 밟는 두 도시 이야기 - 순환경제 구축, 한국은 어느 경로를 따라갈 것인가 신상범(연세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좌) 네덜란드...
이태동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백우열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신상범 연세대 국제관계학과 교수
2019.09.06지속가능한 도시 자원 순환 전략 연구: 도시의 플라스틱 자원 순환경제...
백우열(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2019.08.13플라스틱 없이는 밥도 먹을 수 없는데 - 환경과 산업, 雜種의 길에서 길을 찾아보자 백우열(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민간 싱크탱크인 (재)여시재는 현대 사회, 특히 한국 사회의 지속가능성 문제를 주요 연구...
차상민(케이웨더 공기지능센터장)
2019.07.15[주간 인사이트] 여름은 미세먼지를 이성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계절? 7월 미세먼지 3월 비해 7분의 1, 지금이야말로 정치 논리 걷어낼 適期다 차상민 케이웨더 공기지능센터장 ...
송영훈(한국기계연구원 환경시스템연구본부 본부장)
2019.04.18서울(좌)과 도쿄(우) 일본을 보면 한국이 보이는 것은 미세먼지도 마찬가지다. 산업화에 앞서간 일본도 미세먼지로 고통을 받았다. 그러나 수십 년 정책적 노력이 주효, 지금은 미세먼지 청정국 수준에 이르렀다. 물론 아직도...
최지용(서울대 그린바이오과학기술원 교수)
2019.02.21빗물 요금제 시급히 도입해야 -아스팔트로 뒤덮인 도시, 땅이 말라 물과 대기순환 불균형 초래 최지용(서울대 그린바이오과학기술원 교수) 우리나라는 지난 20~30여 년간 물의 경제적·생태적 중요성에...
박승용(효성 중공업연구소장)
2018.12.14올해 삼성전자 영국 매장 앞에 국제 환경단체인 그린피스가 재생에너지 사용을 촉구하는 포스터를 내걸었다. 뉴욕 매장에는 태양광 패널을 장착한 트럭을 세웠다. 그린피스 활동가들은 작년 말 서초동 삼성 사옥 앞에서 같은 시위를...
관리자
2018.11.29세계 인구가 10억 명이 되는 데는 20만 년에 가까운 시간이 걸렸다. 그로부터 65억 명이 증가하여 현재의 75억 명이 되기까지 걸린 시간은 200년에 불과하다. UN은 2050년에는 98억, 2100년에는 112억에 이를 것으로 전망한다. ...
이정하(SD)
2018.10.19얼마 전 몇몇 커피 체인점에 종이 빨대가 시범 도입되었다. 일회용 플라스틱 컵과 함께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지목되던 플라스틱 빨대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진 탓일까? 종이빨대를 신기한 경험 정도로 여기는 이부터 종이가 눅눅해져서...
관리자
2018.08.30우리가 사는 지구 표면의 약 70%는 물이다. 인간의 몸도 그렇다. 물은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명체의 생존에 필수적일 뿐 아니라 물 순환(hydrologic cycle)을 통해 지구의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은 잘 관리되면 빈곤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