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미래를 준비하는 여시재와 함께 해주십시오. 회원가입으로 여시재의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이명호(디지털플랫폼팀장) · 강동균(SD)
2020.03.26의학·과학 중심 범국가위원회 만들어 코로나 사태 대처해나가야 전문지식이 신뢰받는 풍토 만들지 못하면 사회 전체 불행 과학(기술)사회학이라는 학문 분야가 있다. 과학과 사회의 관계, 전문가의...
김은환(작가∙전 삼성경제연구소 경영전략실장)
2019.11.18[여시재 인사이트/4차 산업혁명 시대 정부의 역할 3] 정부가 공공성으로 무장한 혁신가 집단이 되어야 - 정부 역할 점점 커지는데 그걸 감당할 공무원은 없다 김은환(작가·전 삼성경제연구소 경영전략실장) ...
김은환(작가∙전 삼성경제연구소 경영전략실장)
2019.11.06[여시재 인사이트 / 4차 산업혁명 시대 정부의 역할 2] 정부가 산업에 대해 무엇을 아느냐고? 그렇다면 기업은? - 시장에만 맡겨선 혁신 일어나지 않아, 정부의 역할 더 중요해지고 있다 김은환(작가, 전...
김은환(작가∙전 삼성경제연구소 경영전략실장)
2019.10.18[여시재 인사이트 / 4차 산업혁명 시대 정부의 역할 1] 정치 양극화 시대, 이념의 금기 깨뜨릴 정치 거장의 등장 기대한다 - 중국의 흑묘백묘, 빨갱이 비난받은 뉴딜정책, 케인즈의 혼합경제는 무엇을 말하는가 ...
최원정
2019.09.19[여시재 대화] 과학기술 중시하는 이스라엘 정부 정책은 50년간 바뀌지 않았다 - 요즈마 그룹 에를리히 회장, 여시재서 젊은 기업가들과 대화 최원정 SD 이스라엘을 창업국가로 만든...
윤종록 가천대학교 석좌교수(전 미래창조과학부 차관)
2019.08.30[주간 인사이트] 실업률 10%를 8년만에 4%로, 오바마 경제의 본질은 개방혁신(Open Innovation) - 세계의 인재와 자본이 한국에 와서 아이디어로 돈을 벌게 하라 윤종록 (가천대학교 석좌교수, 전 미래창조과학부...
관리자
2019.03.22싱가포르 난양이공대는 싱가포르 정부가 한국 카이스트를 모델로 1991년 설립한 연구 중심대학이다. 이 대학이 영국의 대학평가기관인 QS의 2018년 평가에서 공과대학 분야 세계 5위에 올랐다. 1~4위는 미국의 MIT와 스탠퍼드, 영국...
황세희
2018.10.262차세계대전의 패전국인 독일은 전쟁 과오에 대한 반성을 바탕으로 전후 유럽통합의 중심적 역할을 굳건히 해왔다. 유럽석탄철강공동체를 창설해 오랜 경쟁자였던 프랑스와의 안정적 경제 협력을 이끌어 낸 후 유럽연합의 구심점으로서의...
임선우
2018.08.30삼권분립과 대의제 민주주의, 정당정치와 다수결 원칙을 근간으로 하는 현재의 정치시스템은 나이가 무려 300살이다. 17~18세기에 구축돼 글로벌 스탠더드가 된지 오래다. 300년을 지탱해왔다는 것은 대중의 의사를 정치에 반영하는...
서용석
2017.05.22?지난 4월 7일 여시재에서는 세계적인 미래학자인 미국 하와이대학의 Jim Dator 명예교수를 초청해 21세기를 위한 거버넌스 디자인(Designing Governance for the 21st Century)과 한국경제의 미래: 지속 성장 또는 보존사회? (Futures of...